은퇴설계 ㅣ 은퇴준비
자산관리를 스마트하게,
노후 자산관리
7~8시: 아침준비 및 영어방송 청취
8~9시: SBS 비즈 시청
9~12시: 헬스장
12~13시: 점심
13~19시: 아르바이트
19~20시: 저녁
20시~: 유튜브 경제채널 시청
23시~: 취침
요즘 50~60대는 젊은 세대보다 투자 정보를 더 빠르게 습득하고 똑똑하게 실천한다. 늘어나는 시간적 여유를 허투루 쓰지 않고 현직에 있을 때 제대로 하지 못했던 건강관리나 자산관리 정보 습득 등을 위해 유익하게 사용한다. 은행/자산관리 앱에서 정보를 탐색하거나 유튜브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하고 실천하며, 재테크 관련 블로그나 카페 글도 꼼꼼히 읽는다.
50~60대의 90%는 모바일이나 인터넷 뱅킹으로 은행 업무를 보며, 10명 중 4명은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가입하여 자산관리를 하고 향후 AI 기반의 자산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70%에 이를 정도로 자산관리에도 적극적이다.
50~60대가 노후 자산관리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3가지는 ‘안정성’, ‘수익성’, ‘유동성’ 이다. 연령대 특성상 소득 감소 가능성이 높아 원금 보전을 가장 우선시하고, 수익성만큼 유동성을 중요시한다. 중대 질병, 가족 문제 등 언제 어떻게 다가올지 모를 큰 위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수익성 있는 부동산으로 바꾸고,
현금으로 불리려고요.”
(서00, 60대 여성,
하나금융연구소 소비자 인터뷰 中)
아무래도 배당이 나오니까요.”
(조00, 60대 남성,
하나금융연구소 소비자 인터뷰 中)
노후 자산관리 성향
안정성과 수익성 두 항목에서는 남녀간 차이가 관찰되는데 안정성을 중시하는 비중은 여성(92%)이 남성(87%) 보다 높고, 수익성을 중시하는 비중은 남성(72%)이 여성(59%) 보다 높다. 다시 말해 여성은 남성대비 안정성을, 남성은 여성대비 수익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한 것이다.
또한 은퇴가 현실로 다가오기 시작하는 50대 초반, 자산 이전과 분배 이슈가 커질 가능성이 높은 부모/형제와 동거중인 가구, 자영업 직군 그룹에서 전문가의 조언 및 관리에 대한 니즈가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관심 있는 자산관리 분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선적으로 일을 할 때처럼 고정적 소득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은퇴 후에도 정기적으로 소득이 발생하는 연금, 배당투자 등에 관심을 갖는다. 다음으로 위험 관리 및 보험, 포트폴리오 조정, 절세플래닝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특히 보유 자산 규모(총 자산 15억 원 이상)가 큰 경우라면 절세플래닝(52%)과 상속 및 증여(48%)에 대한 관심도 크게 상승한다.
앞서 투자 시 중시하는 요소에서 남녀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관심을 두는 자산관리 분야에서도 차이가 있다. 안정성을 중시하는 여성은 절세 플래닝과 위험 및 보험관리에, 수익성을 중시하는 남성은 투자에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을 둔다.
있는 자산관리 분야(중복응답)]

50~60대는 고령자가 됐을 때를 생각해 치매/간병/돌봄 대비를 위한 금융상품(66%), 매월 수익을 정산하는 펀드 등 월지급식 투자상품(61%), 거주주택을 활용해 월 소득을 확보할 수 있는 주택연금(52%) 등에도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금융상품과 함께 요양원이나 실버타운과 같은 시니어 요양/주거 연계 및 혜택을 제공하거나 건강검진, 식단관리 등의 헬스케어 연계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에 대해서도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관심있다’ 응답비율]

치매/간병/돌봄 대비위한 금융상품

월지급식 투자상품
예전이나 지금이나 나이가 들면 투자 시 안정성을 중시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그러나 자산관리에 대한 50~60대의 관심도와 관점,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 채널, 자산관리 방법 등에 변화가 확산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글 _ 하나금융연구소 소비자마케팅분석팀 황선경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