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엄청난 돈이 쏟아져 나오면서 경기가 반등하고 각종 자산가격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경기와 자산 상승에 기여하고 있는 유동성 공급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실행한다. 오랫동안 이어져 온 중앙은행의 유동성 공급은 새로운 것이 아니므로, 이번 경기 반등에 기여한 주체는 정부라 생각된다. 정부는 필요한 곳에 직접 돈을 쓰는 재정지출을 하므로 유동성 공급 효과가 더욱 크다. 재난지원금 사례처럼 정부가 돈을 쓰면 가계 소득이 늘어나서 소비가 증가하고 경기가 확장하는 것이다. 그런데 정부가 지출하기 위해서는 재원이 필요하다. 세율을 올리거나 국채를 발행하여 시장에 내다 팔아서 쓸 돈을 마련해야 하는데, 그러면 시중의 돈이 오히려 정부로 흡수되면서 경기가 나빠질 수 있다. 즉, 정부가 경기 부양 목적의 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국채를 발행하여 돈을 빌리거나 세금을 많이 걷으므로, 단기적으로는 시중의 유동성이 줄어들고 경기가 위축되는 것이다. 그래서 재정확대정책은 원래 사용하기가 조심스럽다.
하지만 중앙은행이 국채를 사준다면 정부 지출에 따른 유동성 공급 효과는 그대로 유지된다. 증가한 국채를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 매입하므로 시중의 유동성이 정부로 흡수되는 일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재원을 마련한 정부가 돈을 쓰니까 경기 부양 효과는 잘 나타나게 된다. 2008년 금융위기 때 미국이 실시했던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시중의 채권을 매입하여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이었는데, 지금은 채권매입에 정부 지출에 따른 유동성 창출까지 추가된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경기가 반등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이다.
경기 반등에 기여하고 있는 각국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 같다. IMF에 따르면 내년 GDP 대비 재정지출은 선진국 41.4%, 신흥국 33.3%로 금년보다는 축소되나 재작년에 비해 여전히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주요국은 코로나19 피해를 보전하기 위해 신규 수요 부양책을 준비 중인데, 미국은 대선 이후 인프라투자가 구체화 되겠으며 유럽은 7,500억 유로 회복 기금을 통해 친환경투자가 예고된다. 우리나라도 한국판 뉴딜의 집행 속도가 내년부터 가속화된다. 이러한 재정정책은 정부가 실물 경기 회복을 위해 돈을 쓰는 것이지만 잉여유동성이 일정 부분 자산시장으로 유입되므로 길게 볼 때 자산 가격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